육아

아기 애착기

P티에스 2025. 3. 5. 13:03

 

12개월 된 저희 둘째가 요즘 들어 부쩍 엄마를 많이 찾고 떨어지면 불안해하며 울더라고요.

일주일도 안돼서 급변한 저희 아기. 

엄마엄마 하면서 울며 매달리고 안 떨어지려고하는데

어디 아픈건가.. 싶은 생각마저 들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애착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1. 애착기(Attachment Phase)란?

애착기란 아기가 특정한 사람(주 양육자)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의 애착 형성은 아기의 정서 안정, 신뢰감, 대인관계 형성, 자존감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애착이 건강하게 형성되면 아이는 심리적으로 안정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감 있고 유연한 태도를 보입니다.
반대로 애착이 불안정하게 형성되면 불안감, 사회적 위축, 정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애착기의 주요 특징

✅ 1) 특정 인물(부모, 주 양육자)에 대한 강한 유대감 형성

  • 아기는 생후 몇 개월부터 **가장 자주 돌봐주는 사람(부모, 조부모, 보모 등)**과 애착을 형성합니다.
  • 특정 양육자가 보이면 기뻐하고, 사라지면 불안해하는 반응을 보입니다.

✅ 2) 신체적, 감정적 접근 행동

  • 아기는 부모와의 접촉을 원하며 손을 뻗거나, 안기려고 하거나, 따라다니는 행동을 보입니다.
  • 울거나 소리를 내어 부모의 주의를 끌고, 부모가 가까이 오면 안심합니다.

✅ 3) 애착 행동(Attachment Behavior) 증가

  • 애착이 형성되면서 아기는 부모에게 강한 애정을 표현합니다.
    • 부모에게 미소를 짓거나, 손을 뻗어 안기려 함.
    • 부모를 따라다니며, 부모가 보이지 않으면 찾으려 함.
    • 부모가 돌아오면 기뻐하고, 헤어질 때 불안해함.

✅ 4) 낯가림 & 분리불안 발생

  • 생후 6개월 이후 낯가림이 시작되며, 익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을 구별합니다.
  • 8~12개월경 분리불안이 강하게 나타나며, 부모와 떨어질 때 강한 불안을 보입니다.

✅ 5) 부모의 반응에 따라 애착 유형이 결정됨

  • 부모가 민감하고 따뜻하게 반응하면 안정 애착 형성
  • 부모가 무관심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반응을 보이면 불안정 애착 형성

 


 

 

3. 애착기의 발달 단계 (볼비의 애착 이론 기준)

✅ 1) 비사회적 단계 (출생~6주)

  • 아기는 누구에게나 미소를 짓고 반응하지만, 특정한 사람을 선호하지는 않음.
  • 울음, 신체 움직임 등으로 부모의 관심을 끌려고 함.

✅ 2) 비판적 애착 형성 단계 (6주68개월)

  • 특정 양육자를 인식하고 선호하기 시작함.
  • 부모가 가까이 오면 기뻐하고, 낯선 사람과 부모를 구별함.

✅ 3) 명확한 애착 단계 (6~8개월,18개월)

  • 강한 애착 행동이 나타나는 시기로, 낯가림과 분리불안이 본격적으로 나타남.
  • 부모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해하고, 따라다니며 부모와의 접촉을 원함.

✅ 4) 목표 지향적 관계 형성 단계 (18개월 이후)

  • 부모가 자리를 비워도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이해하기 시작함.
  • 점점 독립적인 행동을 보이면서도, 부모의 존재를 신뢰함.

 

 


 

 

4. 애착 유형 (Ainsworth의 연구 준)

애착 유형은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1) 안정 애착 (Secure Attachment) (약 60~70%)

  • 부모가 일관되게 따뜻하고 민감하게 반응할 때 형성됨.
  • 부모가 떠나면 불안해하지만, 돌아오면 기뻐하며 안정을 되찾음.
  • 자라면서 자신감 있고, 대인관계가 원만한 성향을 보임.

✅ 2) 불안정 회피 애착 (Avoidant Attachment) (약 15~20%)

  • 부모가 무관심하거나 감정적으로 거리를 둘 때 형성됨.
  • 부모가 떠나도 크게 동요하지 않으며, 돌아와도 관심을 보이지 않음.
  • 타인과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려는 경향이 나타남.

✅ 3) 불안정 저항 애착 (Ambivalent Attachment) (약 10~15%)

  • 부모의 반응이 일관되지 않거나, 불안정할 때 형성됨.
  • 부모가 떠나면 극도로 불안해하고, 돌아와도 쉽게 진정되지 않음.
  • 타인과의 관계에서 불안과 의존적인 성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큼.

✅ 4) 혼란 애착 (Disorganized Attachment) (약 5~10%)

  • 부모가 양육에 일관성이 없거나, 학대를 경험한 경우 형성됨.
  • 부모에게 애정을 보이면서도 동시에 두려워하는 행동이 나타남.
  • 성장하면서 감정 조절이 어렵고, 불안정한 대인관계를 보일 가능성이 높음.

 

 


 

5. 애착 형성을 돕는 방법

✅ 1) 민감하고 따뜻한 반응 보이기

  • 아기가 울거나 도움을 요청할 때 즉각 반응해주기.
  • 부드러운 목소리로 이야기하고, 스킨십을 자주 해주기.

✅ 2) 일관된 양육 태도 유지하기

  •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만들어 아이가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 부모가 감정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신뢰감을 형성함.

✅ 3) 신체적 접촉(스킨십) 자주 하기

  • 안아주기, 쓰다듬기, 마사지 등으로 아이에게 신체적 안정감을 주기.

✅ 4) 함께 놀아주며 상호작용하기

  • 눈을 맞추며 웃어주고, 감정 표현을 풍부하게 해주기.
  • 놀이를 통해 아이가 부모와 긍정적인 경험을 쌓도록 하기.

✅ 5) 분리불안이 심할 경우, 천천히 적응시키기

  • 부모가 자리를 비울 때 “엄마(아빠) 금방 올게”라고 말하며 점진적으로 훈련시키기.
  • 아이가 혼자 있어도 부모가 돌아온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하기.

 


 

 

6. 애착기의 중요성

애착기는 단순히 부모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이후 사회성, 감정 조절, 자존감, 대인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안정적인 애착이 형성된 아이는 심리적으로 안정되며, 독립성과 사회성을 갖춘 성인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부모가 따뜻하고 일관된 관심과 애정을 보이며, 아기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할수록 아이는 안정적이고 행복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유아 접근기🔽

 

유아 접근기

저희 아기 애착기, 분리불안이 왔는데 이게 용어가 '접근기'와 너무 헷갈리더라고요.그래서 유아 접근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유아 접근기란? "유아 접근기(Infant Approach Phase)"는

pts-story.tistory.com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개월 아기와 놀아주는 방법  (1) 2025.03.08
유아 접근기  (1) 2025.03.05
16개월 아기 발달 특징  (0) 2025.03.03
15개월 아기 발달 특징  (0) 2025.02.27
떼쓰는 아이 다루는 방법  (0)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