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아동들의 범주화

P티에스 2024. 9. 30. 13:51

 수많은 대상을 접하는 어린아이들은 그것들을 어떻게 이해할까? 어린아이들은 나누어 정복하기라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전략에서 어린아이들은 재빠르게 대상들을 무생물, 사람, 동물의 세 가지 일반적 유형으로 나눈다. 이 유형들은 지각 발달에서 중요한 점들과 비슷하다. 아이들의 지각 체계는 아이들이 형성하는 개념에 영향을 주며 개념들은 아이들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에 영향을 준다.

 

사물 범주화하기

 다른 종류의 개념들이 다른 종류의 대상들에 적용되기 때문에 광범위한 구분은 중요하다. 어떤 개념들은 아무 데나 적용된다. 즉, 모든 사물인 생물과 무생물은 무게, 색, 키, 크기, 재질 등을 갖는다. 다른 개념들은 생물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오로지 생물만이 숨 쉬고, 먹고, 마시고, 성장한다. 그런데 읽기, 쓰기, 쇼핑하기, 수다 떨기, 사색에 잠기기 등의 개념들은 오로지 사람들에게만 적용된다. 이런 일반적인 유형들을 만들면 아이들은 낯선 것에 대해 정확한 추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리너구리가 동물의 일종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아이들은 오리너구리가 움직이고, 먹고, 성장하고,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바로 알게 된다.

 사물들을 이렇게 일반적인 유형들로 분류하는 것에 더해 아이들은 자동차, 인형, 가구, 야구 장갑 등 셀 수 없는 다른 구체적인 유형들을 만들어낸다. 아이들은 집합과 부분집합의 관계에 따라 조직화되는 범주 위계로 이러한 사물의 유형들을 조직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 범주 위계들은 아이들이 각 수준에서 객체들을 더 자세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돕는다.

 

대상의 범주화

 태어나 처음 몇 달 동안에도 아기들은 사물의 범주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3~4개월 아기들에게 아주 다른 종류의 고양이 사진들을 연달아 보여주었을 때 아기들에게 습관화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즉 아기들은 새로운 고양이 사진들을 점점 덜 바라보았다. 그러나 나중에 개, 사자 등의 다른 종류의 동물 사진을 보여주면 탈습관화되었다. 즉 아기들의 보기 시간이 늘어났다. 고양이 사진에 대한 아기들의 습관화는 아기들이 고양이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고양이를 한 유형으로 보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후에 개나 다른 종류의 동물 사진에 대한 아기들의 탈습관화는 아기들이 이 동물들을 고양이와는 다른 유형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기들은 '고양이'보다 더 일반적인 유형들을 만들 수 있다. 6개월 아기가 개, 얼룩말, 코끼리 등 다른 종류의 포유류를 반복해서 본 다음에 습관화되었고 물고기나 새의 사진을 보여주면 탈습관화 되는 것을 발견했다. 아기들은 포유류들 간의 유사점을 인지했고 결국 흥미를 잃었다. 아기들은 또한 포유류와 물고기나 새의 차이를 알고 새롭게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바처럼 아기들은 곧잘 지각적 범주화를 사용해 비슷한 모양을 가진 물체들을 함께 집단화한다. 아기들이 연구에 참여하기 전에 얼룩말이나 코끼리를 실제로 본 아기는 거의 없을 것이므로 포유류와 물고기나 새 사이의 구분은 동물들의 서로 다른 외관에 대한 인지에서만 근거했을 수 있다.

 아기들은 크기, 색, 움직임을 포함한 많은 지각적 차원을 따라서 대상들을 범주화한다.아기들은 대상 전체보다는 주로 특정 부분에 의해 범주화를 한다. 예를 들어 18개월도 안 된 더 어린 아기들은 대상을 동물로 범주화할 때 다리의 유무에 크게 의존하고 탈 것으로 범주화할 때는 바퀴의 유무에 크게 의존한다.

 두 돌이 돼가면서 아기들은 점점 전반적인 모양에 따라 대상을 분류한다.

 영아기를 벗어나면서 아이들은 개별 유형들만이 아니라 유형들 간의 인과관계와 위계를 만들어낸다.

 어린 아기들이 만들어내는 범주 위계들에는 일반적인 상위 수준, 아주 구체적인 하위 수준,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중간인 기본 수준, 이렇게 세 수준이 있다. 기본 수준은 아기들이 보통 제일 먼저 학습하는 수준이다. 아주 일반적인 '식물'의 범주나 매우 구체적인 '오크나무'의 범주를 형성하기 전에 '나무'처럼 중간 정도의 일반성을 가진 범주들을 만들어낸다.

 아기들이 기본 수준의 유형을 가장 먼저 만들어 내는 것은 놀랍지 않다. '나무'처럼 기본 수준의 범주는 나무껍질, 나뭇가지, 큰 크기 등 수많은 일관적인 특성을 갖는다. 반면 더 일반적인 범주인 '식물'은 일관된 특성들을 덜 갖는다.

 아주 어린 아기들의 기본 범주는 성인의 기본 범주와 항상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 자동차, 버스의 범주를 별개로 만들기보다는 어린 아기들은 이 대상들을 함께 모아 하나의 범주인 ' 바퀴가 있는 물체들'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처음의 유형들은 '움직일 수 있는 것들'의 유형보다는 덜 일반적이면서 '아우디'보다는 더 일반적이다.

 기본 수준의 범주를 만든 뒤 아기들은 더 일반적인 범주들을 설명하기 위해 부모와 다른 사람들이 아이의 기본 수준 범주를 기초로 사용한다. 아이에게 가구와 같은 상위 범주들을 가르칠 때 부모들은 아이가 이미 알고 있는 기본 수준의 예를 가지고 관련되는 언어의 적절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부모들은 하위 범주의 단어들을 가르칠 때에도 기본 수준의 범주들을 사용한다. '흰 돌고래는 고래의 한 종류야' 처럼 말이다. 학령전 아이들은 이러한 말의 미세한 차이에 민감하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이 흰돌고래는 고래야'와 같은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진술보다는 '흰돌고래는 고래의 한 종류야'라는 범주적 진술을 더 넓게 일반화한다. 따라서 대상들의 유형들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진술들은 아이들이 기본 수준 범주들에 대해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을 사용하여 상위 수준의 범주와 하위 수준의 범주들을 만들도록 돕는다.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간에 대한 이해  (0) 2024.10.04
인과성 이해의 발달  (2) 2024.10.02
단어 연결 발달과 대화의 기술  (3) 2024.09.29
언어 발달 과정  (0) 2024.09.26
인지 능력과 한계  (2)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