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인지 능력과 한계

P티에스 2024. 9. 26. 13:44

어떤 선천론자들은 영아들이 특별히 소수의 중요한 영역에서 선천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에 따르면 영아들은 두 물체가 같은 공간을 점유할 수 없다거나 물리적 물체들은 무언가가 작동하도록 해주어야만 움직일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물리적 원리에 대한 일부 지식을 갖고 태어난다. 또한 영아들이 생물과 심리학의 영역에서도 기본적인 이해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험론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물리적 세계에 대한 영아들의 정신적 표상은 다수 영영에서 작용하는 일반적인 학습 원리에 의해 점차적으로 습득되고 강화된다. 

 선천론자와 경험론자들이 모두 알아내려고 하는 것들, 영아들의 인지 능력과 한계에 대한 결과들을 알아본다.

 

1. 대상 지식

영아들의 '인지'에 관해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은 원래 피아제의 감각운동 지능 이론의 영향을 받은, 대상에 대한 지식 발달의 연구로부터 나왔다. 피아제의 대상영속성 검사는 영아들이 시야에서 사라진 대상조차도 찾으려고 하지 않는 이유가 그 대상이 영아의 마음 속에서도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믿게끔 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의심이 일기 시작했고 실제로 영아들이 현재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대상의 존재와 사건에 대해 정신적으로 표상하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들이 많이 있다.

 영아들이 시야에서 사라진 대상을 표상하는 능력이 있다는 간단한 증거는 어두운 곳에서 볼 수 없는 대상을 향해 영아들이 손을 뻗친다는 사실이다. 영아들에게 흥미로운 대상을 보여주고 방을 어둡게 하여 대상이 시야에서 사라지게 하면 대부분의 영아들은 그 대상을 마지막으로 보았던 곳을 향해 손을 뻗는데, 이것은 아직도 대상이 그곳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 영아들은 보이지 않는 대상의 어떤 특징들, 예를 들어 크기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어두운 방 안에 앉아 있는 6개월 된 영아가 엄마나 아빠와 같은 큰 대상의 익숙한 소리를 들을 때 그들은 모두 두 손을 그 대상을 향해 뻗는다. 그러나 작은 장난감과 같은 익숙한 작은 대상의 소리를 들었을 때는 오직 한 손만을 뻗는다.

 

2. 물리적 지식

 영아들의 물리적 세상에 대한 지식은 대상에 대해 그들이 아는 것과 그들이 학습하고 있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어떤 연구에서 중력과 같은 물리적 현상에 대해 그들이 아는 것을 조사했다. 태어난 첫 해에 이미 영아들은 대상들이 공중에 떠다니지 않고 적당하게 지지해주지 않으면 대상이 밑으로 떨어진다는 것과 동그랗지 않은 대상이 안정적인 표면 위에 놓이면 그대로 있을 것 등을 안다. 예를 들어 경사진 곳에서 공을 굴리는 것을 영아들에게 보여줬을 때, 공이 경사면을 따라 내려갈 때보다 경사면을 타고 올라갈 때 더 오래 쳐다보았다. 또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것보다 속도가 더 느려질 때 더 오래 쳐다보았다. 그리고 영아들은 고체와 액체 사이의 물리적인 중요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5개월 된 영아는 물체를 부었을 때 액체가 고체처럼 움직이거나 고체가 액체처럼 움직 일 때 놀랐다.

 영아들은 또한 어떤 조건에서 한 대상이 다른 대상을 지지할 수 있는 지를 점차적으로 이해했으며 이것은 학습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낸다. 상자를 공중에서 놓았을 때 떨어지지않고 그대로 떠 있는 것을 보고 3개월 된 영아들은 놀라워하며 더 오래 쳐다본다. 5개월쯤에 영아들은 지지하기 위해서 접촉의 종류가 관계됨을 알게 된다. 6개월쯤 접촉량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어 상자가 플랫폼의 표면 위에 아주 작은 부분만을 접촉한 채 그대로 놓여 있는 것을 보고 놀란다. 돌이 지난 직후에 영아들은 대상의 모양을 생각하게 되고 비대칭적인 대상이 안정적으로 놓여 있는 것을 볼 때 놀란다.

 

3. 사회적 지식

 영아들은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에 대해 학습해야 한다. 사회적 지식의 발달에 학습이 분명히 관련되어 있다. 영아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의 목표 지향성을 이해하는 것에는 목표를 성취하는 자신의 경험과 관련된다. 아직 혼자서 물건을 집을 수도 없는 3개월 영아들에게 벨크로 장갑을 끼워서 벨크로를 부착한 장난감을 잡을 수 있도록 했다. 성공적으로 물건을 잡을 수 있었던 짧은 경험은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몇 개월 먼저 타인의 목표 지향적 행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다른 예로 스웨덴에서 자라는 영아들은 숟가락을 사용할 때 음식이 입으로 들어올 것을 기대하는 반면, 중국에서 자라는 영아들은 숟가락보다는 젓가락을 사용할 때 음식이 입으로 들어갈 것이란 기대를 하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예측했다.

 영아들은 어떻게 다른 사람의 의도를 이해하게 되나? 하나의 중요한 단계는 영아가 어떤 대상이 의도를 가질 수 있는지, 즉 어떤 대상이 인간처럼 행위자가 될 수 있는 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대상이 관련있게 반응할 때 영아들은 그들을 더 행위자로 높게 취급한다. 돌쯤 된 영아들에게 눈도 없고 얼굴도 없는 한 덩어리를 보여줬는데 이 덩어리는 정상적인 사람의 상호작용을 흉내 내면서 말을 하고 영아의 행동에 반응하며 움직였다. 이어서 그 덩어리가 두 목표 대상 중 하나를 향해 돌았을 때 영아들은 그 덩어리의 행동을 목표지향적인 것처럼 대했다. 마치 사람이 무엇인가를 보기 위해 몸을 돌렸다고 생각하여 사람에게 하듯이 덩어리의 눈길을 쫓는 것 같았다.  영아들은 덩어리의 처음 행동이 영아들의 행동과 관련 있지 않았을 때에는 이와 같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실제로 영아들은 그 덩어리를 더욱 중성적으로 취급할 때보다 행위자처럼 대하며 덩어리와 놀이하는가에 반응한다. 심지어 다른 사람들을 관찰할 때에도 영아들은 눈길과 영아 지향적 언어와 같은 단서를 활용하여 행위자의 눈길을 따를지 말지를 결정한다.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 연결 발달과 대화의 기술  (3) 2024.09.29
언어 발달 과정  (0) 2024.09.26
영아 학습 방법  (0) 2024.09.25
Piaget(피아제)의 네 단계 인지발달  (0) 2024.09.24
영양 행동의 발달  (0)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