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어린이집 1학기 상담내용, 2학기 상담내용, 상담시 하지 말아야 할 질문 총정리

P티에스 2024. 10. 24. 01:35

 

 

저희 첫째 어린이집에서 다음 주에 2학기 상담을 한다고 해요.

그래서 어떤걸 물어봐야 할지를 정리해 봤어요.

 

먼저 지난 1학기에 어떤 상담을 했는지 정리해 볼게요.

첫 상담이라 엄청 떨렸던 기억이 나네요.

 

 

 

 

 

어린이집 1학기 부모상담 내용

 

1. 기질과 성향에 대한 질문

Q) 선생님께서 보셨을 때 우리 아이의 기본적인 기질이나 성향이 어떤 것 같나요?

 

2. 발달에 대한 질문

Q) 비슷한 개월수의 친구와 비교했을 때 언어 발달, 사회성 발달, 인지 발달, 정서 발달은 어떤가요?

 

3. 참여도에 대한 질문

Q) 놀이터나 유희실에서 하는 동적활동시간에 대한 참여도는 어떤가요?

Q) 정적활동 시간에 참여도와 집중력은 어떤가요?

Q) 특별활동시간 참여도는 어떤가요?

 

4. 취향에 대한 질문

Q) 아이가 놀이활동이나나 책에서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Q) 그럼 어떤 것을 싫어하나요?

 

5. 습관에 대한 질문

Q) 식습관은 어떤가요? 식사시간 태도가 궁금합니다. 편식 없이 스스로 잘 먹나요?

Q) 수면습관은 어떤가요? 금방 잠드나요? 많이 뒤척이나요?

Q) 정리 습관은 어떤가요? 집에서는 놀이 후 정리를 하다 안하다 하는데 어린이집에서는 어떤가요?

 

6. 교우 관계에 대한 질문

Q) 전반적으로 친구들과 잘 지내나요?

Q) 어떤 친구와 잘 어울리나요?

Q) 어떤 친구와 갈등이 주로 생기나요? 그리고 갈등상황에서 대처는 어떻게 하나요?

 

7. 그밖의 질문

Q) 혹시 힘들어하는 부분이나 예민한 부분이 있을까요?

Q) 배변훈련은 언제쯤 원이랑 같이 하는 게 좋을까요?

 

 

 

 

어린이집 2학기 부모상담 내용

 

2학기 상담 내용은 1학기 상담 내용과 비슷하면서도 구체적이에요. 

새로운 반, 새로운 선생님, 새로운 친구들과 잘 적응 한 뒤의 상담이기에 1학기 상담내용을 그대로 상담해도 다른 답변을 들을 수 있을 거예요.

 

1. 발달에 대한 질문

Q) 아이의 언어 발달은 어떤가요?

Q) 의사소통 능력이나 이해력은 어떤가요?

Q) 아이의 신체 발달은 어떤가요? 대근육 발달과 소근육 발달 중 부족한 부분이 있을까요?

Q) 아이의 감정표현은 어떤가요?

Q) 기쁨, 슬픔, 화남, 서운함 등의 표현은 어떻게 하나요?

Q) 스트레스를 받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며 대처는 어떻게 하나요?

 

2. 교우 관계에 대한 질문

Q) 친구들과 잘 어울리나요? 

Q) 친구를 대함에 있어 적극적인가요 소극적인가요?

Q) 친구와 갈등이 생기면 어떻게 대처하나요?

Q) 주로 어떤 상황에서 갈등이 생기나요?

Q) 친구와 불편한 일이 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이야기하나요?

 

3. 학습태도에 대한 질문

Q)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에 잘 앉아서 눈을 맞추나요?

Q) 어떤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나요?

Q) 어떤 활동을 불편해 하나요?

Q) 활동에서 집중력은 어떤가요?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을 잘하나요?

Q) 새로운 것을 배울 때 적극적인가요? 

Q) 선생님 지시에 잘 따르나요?

 

4. 놀이에 대한 질문

Q) 친구들과 어울려 놀 때는 어떤 놀이를 하나요?

Q) 자유롭게 놀라고 하면 어떤 놀이를 자주 하나요?

Q) 놀이터에서는 주로 무엇을 하고 노나요?

Q) 자주 보는 책이 있나요?

 

5. 식사 습관 수면 습관에 대한 질문

Q) 식사할 때 제 자리에 잘 앉아서 먹나요?

Q) 간식이나 안 먹는 음식이 있나요?

Q) 더 먹고 싶거나 그만 먹고 싶을 때 말로 표현을 하나요?

Q) 낮잠을 잘 때 입면하는 시간은 어느 정도 걸리나요?

Q) 낮잠 자기 싫어할 때도 있나요?

 

6. 그 밖의 질문

Q) 어른의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요청하나요?

Q) 가정에서 부모가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어떤 게 있을까요?

 

 

하지 말아야 할 질문

 

1. 개인적인 질문

  선생님 결혼 여부, 남자 친구 여부, 자녀 여부 등 사적인 질문은 피해 주세요. 다른 선생님에 대한 질문도 하면 안 됩니다.

 

2. 다른 친구와 비교

   같은 반 혹은 다른 반 친구와 우리 아이를 비교하며 '그 친구는 ~ 한다던데~'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면 내 아이의 정보대신 그 아이의 정보를 듣게 됩니다. 굳이 내 아이에 대한 정보를 듣는 시간을 다른 누구의 정보로 채울 필요가 있을 까요?

 

3. 사담

  다른 엄마들 이야기와 같은 사담은 피해 주세요. '땡땡반 누구 엄마는~' 이러면서 우리 아이 정보 듣는 시간을 깎아먹지 마세요.

 

4. 소문과 같은 여담

 원에 대한 안 좋은 소문이나 엄마들 사이에서 들리는 소문에 대한 사실여부를 확인하려 하지 말아 주세요. 지금은 우리 아이 상담 시간이기 때문이에요. 다른 이야기를 하는 순간 상담이 수다가 되어버립니다. 소문을 반드시 확인해야겠으면 원장선생님께 따로 여쭤보면 됩니다.

 

 

 

 

이렇게 상담 내용을 정리해 봤어요. 저희 원은 전화상담, 대면상담이 모두 가능해요. 보통의 원은 모두 가능한 걸로 알고 있어요. 상담할 때는 말을 예쁘게 해서 서로 기분이 상하는 일이 없으셨으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