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 14

뇌 발달 과정

신경발생과 뉴런 발달신경발생이란 세포분열을 통한 뉴런의 증식이다. 이 신경발생은 수정 후 42일 차에 시작해서 임신 중기쯤 끝난다. 즉, 지금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약 1천억 개의 뉴런은 태어나기 전부터 우리와 함께 한 것이다. 이로 끝이 아니라 우리는 일생 동안 새로운 뉴런을 계속해서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무언가를 배우는 동안 뇌의 해마에서 신경발생이 일어난다. 여기서 해마는 '기억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의 한 영역이다. 그런데 신경발생은 항상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신경발생은 만병의 근원인 스트레스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패턴은, 인생의 후반부에 이루어지는 신경발생은 미리 예정되고 고정된 것이 아님을 간접적으로 표현해 준다. 그 대신에 적응적이어서 보상 조건이 증가하고 ..

발달심리학 2024.09.22

출생 경험과 출산 실제

출산은 자연분만이나 제왕절개로 이루어진다. 자연분만이 더 좋은 것 아닌가? 산모의 회복에 대해 놓고 보자면 자연분만이 제왕절개보다 상대적으로 회복이 빨라 그 점에서는 좋다. 하지만 아이에게도 자연분만이 더 좋을까?가능하면 자연분만으로 나오면 좋다. 아이가 산도를 통과하며 벌어진 두개골이 어느 정도 감소가 되고, 폐에서 양수를 나오게 하여 자가 호흡을 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골반에 걸려서 나오지 못하는 아이를 억지로 자연분만하려고 한다면 산모도 아기도 모두 위험해질 수 있다. 아이가 골반에 껴 있는 시간이 길면 길어질수록 더더욱 심각해진다. 실제로 내가 진통을 겪고 있을 당시, 앞 대기실에서 한 외국인 부부도 진통을 겪고 있었는데 아이가 골반에 껴서 내려오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

발달심리학 2024.09.22

태내기 - 임신 주 차별 태내발달(태아발달)

임신은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착상한 때부터를 말하며 수정란은 임신 8주까지는 배아, 8주 이후부터는 태아라고 불린다. 기관의 형성은 임신 초기(~14주)에 대부분이 형성된다. 4주 차 배아배반포 내의 여러 세포는 역할이 서로 달라지기 시작한다. 태반이 발달하고 배아에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세 개의 층이 형성된다. 첫 번째 층은 아기의 소화기계와 호흡기계를, 두 번째 층은 심장, 근육, 신장, 생식기와 뼈를, 세 번째 층은 아기의 신경계, 머리카락, 피부와 눈을 만들게 된다. 5주 차 배아아기에게는 이제 두 개의 방이 서로 꼬여 있는 튜브처럼 생긴 심장이 있다. 심장은 임신 36일째 혹은 그쯤부터 뛰기 시작한다. 비록 박동 소리를 듣기에는 너무 이르지만 말이다. 신경관이 닫히면서 아기의 척수가 형성된다. 외..

발달심리학 2024.09.22

아동발달에 대해 배워야 하는 이유

아이를 키우면 자연스레 아동 발달에 대한 관심이 생긴다. 우리 아이가 나이에 맞게 정상적으로 잘 발달하고 있는가? 부모인 우리들로서는 아동들을 관찰하는 순수한 즐거움과 아동들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아동발달을 연구하는 데 충분한 이유가 된다. 한 아동의 발달보다 더 흥미로운 것이 있을 수 있을까? 그러나 또한 아동발달을 연구하는 데는 지적이고도 실제적인 이유가 있다. 아동들이 어떻게 발달하는 지를 알면 아동복지에 대한 더 현명한 사회정책을 채택할 수 있고,  아동 양육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인간의 본질에 관한 아주 흥미로운 질문에 대해 답할 수 있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 이유들을 각각 알아볼 것이다. 아동양육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수많은 도전들 중에는 세월을 두고 끊임없..

발달심리학 2024.09.21